시리즈
사회적기업 육성법에 따른 조직형태
[컨설팅] 사회적기업의 정의와 인증제도의 목적
1. 사회적기업의 정의 및 특징
"
사회적기업에 대한 합의된 명확한 정의나
규범은 없으며 계속 진화해 가는 개념
우리나라에서는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헌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판매 등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 을 말함(사회적기업 육성법 제2조)
"
사회적기업은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전통적인 기업관과 사회서비스의 창출을 목표로 하는 사회적·공익적 목적관을 동시에 지닌 제3의 경제주체
사회적기업은 영리성을 추구하는 면에서는 일반 기업의 특성, 공공성을 우선시하는 면에서는 사회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영리성과 공공성을 같은 수준으로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영리성보다는 공공성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
2. 사회적 기업의 역할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헌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 사회적 목적의 실현을 조직의 주된 목적으로 할 것
"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 취약계층에게 고용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노동시장으로 통합
- 사회서비스 분야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써 취약계층에게
고용친화적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분야
"
사회서비스에 대한 수요 충족
- 기부 · 후원 · 자원봉사 등 사회적 자원과 결합하여 적절한 가격에 양질의
사회서비스를 공급
"
지역사회 통합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 사회적기업은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므로 지역사회 고용 창출 및 복지 증진에
기여, 사회적 자본을 조성, 이윤의 지역사회 재투자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
"
사회적기업 지원제도
1. 경영지원 등
2. 공공기관 우선 구매권고
3. 시설비 지원
4. 세제지원 제공
5. 사회보험료 지원
6. 전문인력 채용지원
7. 일자리 창출 지원
8. 사업개발비 지원
9. 모태펀드